사회 초년생 여러분 안녕하세요? 투자를 하려면 보통 시드 머니를 먼저 모아야 한다고 하죠. 많은 이들의 목표인 1억을 모으는 것도 좋겠지만 그러려면 먼저 1천만 원을 직접 모아볼 수 있어야 합니다.
첫 시작은 주식이나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이 아니라 예적금에서 출발하는 게 좋은데요. 아래 방법을 따라 시도하시면 3년 동안 1,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.

3년 동안 1,000만원 모으는 방법
3년 동안 천 만원을 모으기로 결심하셨나요? 그렇다면 이제 매월 30만원씩 3% 금리 상품에 가입 차례입니다. 다음 3단계를 거치면 3년 동안 천 만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.
1️⃣년차 3% 적금 상품에 가입하고 30만원씩 매월 저축
- 시중에서 3% 이상의 금리를 주는 적금을 찾아 가입 신청합니다.
- 매월 30만원씩 성실히 납부합니다.
- 1년 뒤에는 ₩3,658,269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.
| 月 | 납입 금액 | 누적 금액 |
|---|---|---|
| 첫째 달 | ₩300,000 | ₩300,000 |
| 둘째 달 | ₩300,000 | ₩601,500 |
| 셋째 달 | ₩300,000 | ₩903,754 |
| 넷째 달 | ₩300,000 | ₩1,206,763 |
| 다섯째 달 | ₩300,000 | ₩1,510,530 |
| 여섯째 달 | ₩300,000 | ₩1,815,056 |
| 일곱째 달 | ₩300,000 | ₩2,120,344 |
| 여덟째 달 | ₩300,000 | ₩2,426,395 |
| 아홉째 달 | ₩300,000 | ₩2,733,211 |
| 열째 달 | ₩300,000 | ₩3,040,794 |
| 열한번째 달 | ₩300,000 | ₩3,349,146 |
| 열두번째 달 | ₩300,000 | ₩3,658,269 |
2️⃣년차: 만기된 금액을 3% 예금에 넣고 30만원 적금을 반복합니다.
- ₩3,658,269을 3% 예금에 넣습니다.
- 3% 이상의 금리를 주는 적금을 찾아 가입 신청합니다.
- 매월 30만원 씩 성실히 납부합니다.
- 이렇게 하면 예금과 적금을 합쳐 총 ₩7,649,075를 모을 수 있습니다.
| 1년 후 | 예금 | 적금 | 최종 수령 |
|---|---|---|---|
| 수령 금액 | ₩3,768,017 | ₩3,658,269 | ₩7,649,075 |
3️⃣년차: 만기된 금액을 3% 예금에 넣고 30만원 적금을 반복합니다.
- ₩7,649,075을 3% 예금에 넣습니다.
- 3% 이상의 금리를 주는 적금을 찾아 가입 신청합니다.
- 매월 30만원 씩 성실히 납부합니다.
- 이렇게 하면 예금과 적금을 합쳐 총 ₩11,307,344를 모을 수 있습니다.
| 1년 후 | 예금 | 적금 | 최종 수령 |
|---|---|---|---|
| 수령 금액 | ₩7,878,547 | ₩3,658,269 | ₩11,536,816 |
최종 정리
최근 금리 인상으로 시중에서 3%가 넘는 상품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. 지금이라도 1천만 원 모으기에 도전해보세요.
월 30만원 씩 3% 적금과 예금을 활용하면 1년 뒤에 365만원, 2년 뒤에 764만원, 3년 뒤에 1,153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!
이렇게 모은 천 만원을 모아 다시 한번 예금에 가입한다면 1년에 34만 6천원을 이자로 받을 수 있습니다! 결코 적지 않은 돈일 뿐더러 또한 이를 계속 복리로 불려나간다면 이자는 더욱 늘어나게 됩니다.
'🧑🌾 아카데미 > 🛡️ 투자 및 경제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FOMC란 무엇이며 연준은 어떤 일을 할까요? (0) | 2023.02.01 |
|---|---|
| 금융 소득 세금 정리 (이자 및 배당 세금 절약하는 방법) (0) | 2022.10.14 |
| 연준 FED의 양적 완화란 무엇일까요? (0) | 2022.08.07 |
| 변동 금리란 무엇인가요? 고정 금리와 비교 (0) | 2022.08.06 |
| 리세션이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8.04 |